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과 관련, 정읍시 관련 단체들이 성명서를 발표하고,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의 파행적 운영 행태에 대해서 강력히 규탄했다.

지난10일 오후 2시, 정읍시 중회의실에서 개최된 기자회견에는 (사)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 이갑상 이사장, (사)갑오농민동학혁명유적보존회 서현중 이사장, 정읍동학농민혁명유족회 최명언 회장 등 단체 회원 10여 명이 참석하였다.

이들은 2004년 특별법 공포 이후 11년 동안 기념일이 제정되지 못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 대해서 잘잘못을 떠나 그 책임을 피할 수 없다고 전제하고, 그러기에 금번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하 기념재단) 김대곤 이사장, 전국동학농민혁명유족회(이하 유족회) 김석태 전(前)회장, 천도교 박남수 교령, 신영우 충북대 교수 등 4인이 민주적 절차와 과정을 무시한 채 철저한 비공개로 일관할 때에도, 산고 끝에 옥동자를 기대하는 마음으로 묵묵히 그 결과를 기다려왔다고 했다.

그러나 지난 3월 3일 대전에서 개최된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 추진활동 보고회’(이하 보고회)에서 실체도 없는 ‘동단협’(동학농민혁명단체협의회)이 마치 존재하는 것으로 속이고, 더 나아가 금번에 추진된 기념일 제정 추진과 관련된 모든 절차와 과정 등을 동단협이 위임해 준 것으로 왜곡하는 행태를 보면서 실망을 넘어 통분하지 않을 수 없음을 주장했다.

이들이 문제 삼는 부분은 실체도 없는 동단협을 내세워 합법적인 절차와 과정을 거친 것으로 왜곡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동학농민혁명 선양사업을 훼손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전주화약일’을 제안했다는 자문단의 전문성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하였다. 즉 ‘전주화약일’과 ‘논산대집결일’은 그간 단 차례도 거론된 바 없으며, 지난 121년 동안 단 한 차례도 기념식이나 기념행사 나아가 기념사업조차 없다는 점을 들었다.

더욱이 ‘전주화약일’은 정부측 책임지가 초토사 홍계훈인지, 전라감사 김학진인지조차 검증되지 않았고, 동학농민군이 수세적 입장에서 전주성을 철수한 점 등을 들며, 동학농민혁명을 상징할 수 있는 명분조차 갖추지 못한 날을 제안했다는 것 자체가 전문성을 갖추지 못한 단적인 증거라고 주장하였다.

특히 이들이 강조하는 점은 ‘전주화약일’이 “조선정부가 동학농민군의 존재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는 내용이다.

국민 다수가 알고 있듯이 동학농민혁명 당시 조선정부는 처음부터 끝까지 동학농민군을 ‘반란’과 ‘역적’으로 단죄하였고, 그러기에 우금치전투를 포함해서 30~40만 명에 이르는 희생자가 발생했는데, 조선정부가 동학농민군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면, 일본군과 함께 토벌한 이들 희생자들은 도대체 누구인지 반문하였다.

또한 이들은 3월 3일 대전에서 개최된 회의가 ‘보고회’였고, 참석 대상자들조차 이들이 선별한 단체에 국한되었으며, 그마저 대표의 참석 또는 대리 참석자에 대한 사전 양해나 위임조차 고지되지 않았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사전에 표결이 있을 것임을 아예 고지하지 않았고, 당일 기념재단측이 제안한 ‘전주화약일’이 단일안으로 채택될 것인지조차 사전에 통지된 바 없으며, 투표 참여자에 대한 신분 확인조차 자신들이 만들어 논 명패로 대체했음을 들고, 기념재단이 짜 놓은 각본에 따라 일사천리로 진행되었음을 지적하였다.

이들은 4가지 요구사항을 제시하였는데, 3월 3일 대전에서 개최된 보고회의 파행적 운영에 대한 기념재단 김대곤 이사장의 공식사과와 퇴진, ‘전주화약일’에 대한 검증작업의 공개적 추진, 민주적 절차와 과정을 통한 기념일 제정 재추진 등을 제시하고, 요구사항이 관철될 때까지 모든 방법을 동원할 것임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정읍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